본문 바로가기
여러가지 이슈

요즘 시대를 읽는 신조어, '테토남'과 '에겐녀'의 등장

by 일상지기 2025. 7. 18.

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를 중심으로 ‘테토남’‘에겐녀’라는 신조어가 유행하고 있습니다. 단순한 유행어를 넘어, 이 두 키워드는 2020년대 젠더 이미지와 자기 이상형을 담고 있는 중요한 사회적 밈(meme)이라 할 수 있습니다.

 

테노탐과 에겐녀
테토남과 에겐녀

목차

1. 테토남이란?

테토남은 '테스토스테론(testosterone)이 터지는 남자'의 줄임말로, 남성성이 과하게 드러나는 마초적인 남자를 풍자할 때 사용하는 말입니다.

예: 헬스장에서 혼자 거울을 보며 포즈를 잡는 모습, 말투에서 우월감을 내비치는 태도 등.

테토남은 단순히 '허세'를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, **전통적인 남성성에 대한 시대의 비판과 풍자**가 담겨 있습니다.

2. 에겐녀란?

에겐녀는 '애교 + 갓생 + 능력녀'의 합성어입니다. 즉, 사랑스러움과 철저한 자기관리, 능력까지 갖춘 여성상을 뜻합니다.

그녀는 사회적으로도 능력 있고, 감정 표현도 자유롭고, 일상도 규칙적으로 관리하는 ‘요즘 시대의 워너비 여성’으로 그려집니다.

특히 SNS에서 #갓생 해시태그와 함께 등장하며, 많은 여성들이 자신의 라이프스타일을 이 단어로 표현하곤 합니다.

3. 시대 정신이 반영된 신조어

이 두 단어는 단순한 밈이 아닌, 사회적 이미지와 젠더 감수성의 변화를 대변하는 키워드입니다.

  • 테토남: 구시대적 남성성에 대한 풍자
  • 에겐녀: 자기 계발과 균형 감각을 가진 이상형 여성상

재미있게 소비되는 밈이지만, 그 안에는 현대인이 바라는 이상적인 ‘나’의 모습이 담겨 있습니다.

4. 밈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?

‘테토남’은 웃자고 만든 말이지만, 지나치면 조롱이 될 수 있고, ‘에겐녀’는 칭찬처럼 들리지만 과도한 자기 관리 강박을 부를 수도 있습니다.

결국 중요한 건, 이 밈들을 통해 우리가 원하는 인간상과 사회가 요구하는 이미지를 비춰볼 수 있다는 점입니다.

맺음말

테토남과 에겐녀. 이 둘은 단순한 유행어를 넘어, 우리가 살아가는 지금 이 시대의 문화와 인식의 흐름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.

이 신조어들을 비웃거나 추종하기보다는, 스스로 어떤 삶을 살아가고 싶은지를 묻는 질문의 도구로 삼아보는 건 어떨까요?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