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일상 정보

에어컨 vs 제습기, 제습은 누가 더 잘할까? 장마철 고민 끝!

by 일상지기 2025. 7. 8.

장마철만 되면 습도가 80~90%를 훌쩍 넘기죠.

집안 곳곳이 꿉꿉하고, 빨래도 잘 안 마르고, 몸까지 늘어지니 고민이 많아집니다.
이때 자연스레 드는 질문이 하나 있습니다.

"에어컨과 제습기 중에 제습은 누가 더 잘할까?"

오늘은 이 궁금증을 깔끔하게 풀어보겠습니다.
직접 경험과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했으니, 끝까지 읽어보시면 선택이 훨씬 쉬워질 거예요.

 

에어컨 VS 제습기

🌀 에어컨과 제습기의 차이부터 알기

     구분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에어컨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제습기

주 목적 냉방 (온도 낮추기) 제습 (습도 낮추기)
작동 원리 실내 공기를 차갑게 만들어서 수증기를 물방울로 응축 → 배출 (응축수) 공기를 흡입 → 차갑게 만들어 수증기 응축 → 물통에 모으고 건조한 공기 재방출
결과 온도가 크게 내려감 + 습도도 약간 같이 내려감 온도는 거의 그대로, 습도만 집중적으로 내려감

에어컨은 기본적으로 ‘냉방기’ 입니다.
그래서 온도를 낮추다 보니 자연스럽게 습도도 조금 떨어지는 거죠.
반면, 제습기는 **‘습도 제거’**가 주 목적인 기계라 훨씬 직접적입니다.

 

💧 누가 더 제습을 잘할까?

✅ 제습기 승!

순수하게 습도만 낮추는 능력은 제습기가 훨씬 뛰어납니다.
하루에 20~30L 이상의 수분을 뽑아내는 가정용 제습기도 많아요.

에어컨은 냉방을 위해 만들어졌기 때문에, 제습은 어디까지나 부가 기능 정도입니다.
특히 실내 온도가 충분히 낮아지면 에어컨은 작동을 멈추는데, 그때부터는 더 이상 습도를 못 잡아줍니다.

 

🌡️ 상황에 따라 다르게 쓰자

이런 경우추천

방이 너무 덥고, 시원하게 식히면서 습도도 낮추고 싶을 때 에어컨
방 온도는 괜찮은데, 빨래가 잘 안 마르고 눅눅할 때 제습기
밤에 잘 때 온도가 너무 떨어지면 감기 걸릴까 걱정될 때 제습기

제습기는 온도를 크게 떨어뜨리지 않으니
여름 밤에도 몸이 차가워질 걱정 없이 습도만 잡을 수 있어요.

 

⚡ 전기요금은 어떨까?

보통

  • 에어컨 냉방은 약 0.8~1.5kW (평균)
  • 제습기는 약 0.3~0.6kW

즉, 같은 시간 작동시키면 제습기가 전기를 덜 먹습니다.
(물론 제습 시간과 공간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요)

 

✍️ 정리하면

 제습만 제대로 하고 싶다면 → 제습기
 덥고 습할 땐 → 에어컨

결국 집의 상황과 원하는 조건에 따라 선택하는 게 좋겠죠.
장마철 눅눅함이 고민이라면, 제습기 하나쯤 장만하는 걸 강력 추천드립니다.
빨래도 잘 마르고, 곰팡이 걱정도 훨씬 줄어듭니다. 😊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