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재명 정부의 AI 정책 로드맵을 6대 핵심 축(조직·인사, 법·제도, 인프라, 로드맵, 국제 협력, 시민사회 요구) 별로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정리했습니다. 140조 원 투자, AI기본법, GPU 확보 계획 등 주요 내용을 확인하세요.

요약
이재명 정부는 AI를 세계 3대 강국 도약의 핵심 동력으로 삼아,
- 조직·인사 2) 법·제도 정비 3) 컴퓨팅 인프라 확충 4) 정책 로드맵 5) 국제 협력 6) 시민사회 요구라는 여섯 개 축을 중심으로 균형 있는 추진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.
핵심은 민·관 협업을 통한 140조원 규모 투자, AI기본법 제정, GPU 5만대 확보 계획, AI미래기획수석실 신설 등입니다.
1. 조직·인사
- AI미래기획수석실 신설
이재명 대통령은 대통령실 산하에 AI미래기획수석실을 만들고, 네이버클라우드 AI이노베이션 센터장 하정우를 초대 수석으로 임명했다. - 민간 전문가 대거 기용
과기정통부 장관 후보로 LG AI연구원장 배경훈, 중기부 장관 후보로 네이버 한성숙 고문을 지명해 산업현장 경험을 정책에 반영했다.
2. 법·제도 정비
- AI기본법 제정
2024년 12월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AI기본법은 2026년 1월 시행을 앞두고 있으며, ‘국가인공지능위원회’와 ‘AI 안전연구소’ 설립 등을 규정한다. - 규제 특례 도입
산업현장 혁신을 위한 규제 샌드박스 확대, ‘모두의 AI 프로젝트’ 및 데이터 활용 규제 완화 등을 포함한다.
3. 컴퓨팅 인프라 확충
- GPU 확보 계획
연내 GPU 1만 대, 내년 상반기까지 총 1.8만 대 확보를 목표로 하며, 장기적으로는 5만 대 이상을 확보할 계획이다. - 추경 예산 1조 4600억
클라우드 기업 공모·선정 방식으로 GPU 구매·구축·운영 전 과정을 신속히 추진한다.
4. 정책 로드맵
- ‘3축 균형 추진’ 전략
AI 인프라·R&D 투자, 법·제도 정비, 산업현장 인재 양성이라는 세 축을 균형 있게 발전시킨다. - 140조 원+α 투자
5년간 정부 재정 40조 원, 민간 투자 100조 원 유도로 총 140조 원 규모의 AI 펀드를 조성한다.
5. 국제 협력
- G7 정상회의 AI 세션
캐나다 G7 확대 세션에서 ‘안정적 글로벌 AI 생태계 구축’, ‘민간 부문 참여 확대’, ‘혁신 혜택 확산’ 3대 과제를 제시했다. - 글로벌 규범 정립 노력
다자 간 협력과 국제법·표준 마련을 통해 대한민국의 AI 경쟁력을 강화한다.
6. 시민사회 요구
- 6대 정책 제안
참여연대 등 시민단체는 AI 안전 거버넌스, 공공성·민주성 보장, 개인정보 보호 강화, 피해 구제 체계, 군사 AI 통제 등을 국정기획 위에 건의했다.
반응형
'일상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이재명 정부 복지 정책 5가지 한눈에 보기|신청 방법 및 링크 안내 (0) | 2025.06.28 |
|---|---|
| 이재명 정부 소버린 AI 전략|140조원 투자·국산 LLM ‘믿음’·GPU 5만대 확보 (0) | 2025.06.28 |
| 2025 민생회복지원금, 인구소멸지역은 어디? 추가 지원금 대상 총정리 (0) | 2025.06.27 |
| 소상공인 경영 부담, 정부가 3대 지원으로 완화한다 (0) | 2025.06.26 |
| 2025년 채무 감면 제도 정리|코로나 연체·7년 장기 연체자 최대 100% 탕감 가능 (0) | 2025.06.25 |